장거리 운송 체제 구축 위한 경쟁 치열…예산 확대, 각종 규제 면제 시급

세계 수소 시장에 확대에 주요국들이 수소 액체·액상 기반 저장·운송 기술에 투자를 집중하는 가운데 국내의 경우 지원이 미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② 수소 저장‧운송 산업 육성 현황과 정책 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소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저장·운송을 위해 압축 또는 변환 과정이 필수다. 이 때문에 주요국들은 장거리 수소 운송 체제 구축을 위해 수소를 액체 도는 액상 전환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수소 운송 시장의 경우 기체기반 운송으로 인해 수소 유통 범위가 국내로 한정돼 있다. 향후 액체·액상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해상 운송을 통한 장거리 대량 운송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 경우 액화 수소 수출입 터미널 등 수소 저장 기술을 연계한 운송 인프라 투자가 활성화돼 2050년까지 56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주요 수소산업국, 장점 앞세워 수소 운송 기술 상용화 앞둬
주요 수소산업국은 수소 저장·운송 기술 시장 우위를 통한 시장 선점을 위해 적극적인 산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자국 수소 수요 충당을 위한 저장·운송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배관망, 육상 액화 수소 운송 기술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액상 저장 기술 보유해 탄탄한 시장을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2030년까지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해 장거리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외 수소 수입 실증사업 및 기술 개발에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다년간 추진 중인 액화·액상 해상 운송 실증사업들은 실질적인 성과를 내며 경쟁국들보다 앞선다는 평가다. 

독일은 국가 간 연계를 추구하며 국제 협력을 통한 역내외 파이프라인 구축과 수소의 운송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상용화 단계에 이른 고압 기체 저장 운송 기술과 고도화된 액화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기술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수소 예산 중 저장·운송 분야 비중 가장 낮아…‘적극적인 정부 지원 필요’
우리나라의 경우 기체 저장·운송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도달했지만 수소 국제 운송에 필수적인 액화·액상 기술은 아직 미흡하다는 평가다. 또한 국내 수소 저장·운송 기술은 주요국 대비 경쟁력이 낮아 관련 기술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1~2020)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분야 세계 특허 출원 비중은 전체의 5%로 EU 33%, 미국 23%, 일본 22%와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우리 수소 산업 투자가 수소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술 투자에 치우쳤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정부의 전체 수소 예산을 살펴보면 4149억원 중 12% 해당하는 507억원만이 수소 저장·운송 분야에 투자됐다. 이는 수소 전 분야 중 가장 낮은 투자 비중이다. 2022년 수소 경제 전환 예산도 수소 저장·운송 분야 예산은 전체 예산의 4%인 536억원만을 차지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무역협회는 수소 저장·운송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수소 R&D 사업 특례 기준 제정을 통한 연구 개발 비용 지원 확대 ▲해외 수소 공급망 지원 체계 고도화 ▲튜브 트레일러 용적 및 압력 기준 완화 ▲연구 개발 시설에 대한 수소법 상 각종 허가 및 검사 규제 면제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임지훈 한국무역협회 수석 연구원은 “수소 경제의 특성상 사업성과를 즉각적으로 내기 어렵고 투자가 이윤 회수로 직격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요구된다”면서 “향후 도래할 국제 수소 유통 경제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 기술 자립과 이를 위한 산업 육성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