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친환경 녹색물류활동 변화와 개선방안 - 12

시리즈 기고를 마무리 하면서 지속가능한 녹색물류활동의 변화상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서 ‘녹색경영’이란 기업이 경영활동에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온실가스 배출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사회적,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경영을 말한다. 지속가능발전법에서 ‘지속가능발전’이란 지속가능성에 기초하여 경제의 성장, 사회의 안정과 통합 및 환경의 보전이 균형을 이루는 발전을 말한다. 지속가능 녹색경영은 경제성, 사회성, 환경성 중 선택이 아니라 동시에 실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환경성 면에서 아프게 지적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지난 2016년 영국의 연구기관 ‘기후행동추적(CAT)’이 ‘세계 4대 기후 악당국가’로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한국을 선정한 바 있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로는 1인당 탄소배출량의 가파른 증가, 석탄화력발전 수출에 대한 재정지원, 20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폐기 등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소극적이라는 점을 꼽고 있다.

물류활동으로 인환 환경부하는 크게 온실가스 배출, 미세먼지, 포장폐기물을 들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과 수준에 대하여 연재해 왔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녹색물류산업의 3가지 기본 축을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그동안의 연구결과들은 환경친화적인 녹색물류활동 변수로 정보 및 관리기술, 근원적 감축, 재사용, 재활용을 들고 있다.

공급망에서 기업의 수익성은 네크공정을 개선하면 향상되지만, 친환경 녹색물류활동은 각 단계에서 제로 배출이 이루어져야 전 과정에서 제로 배출을 달성할 수 있다(그림2).

최근 유통의 흐름(표1)을 보면, 20년 3/4분기 온라인 쇼핑 상품 거래액 비중이 전년대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분기대비 26.9% 증가한 27조 6,997억 원을 기록하였다. 전체 소매판매액의 23%에 해당한다. 같은 자료에서 모바일 음식서비스 매출이 2019년 3/4분기 2조 4,338억 원에서 2020년 3/4분기 4조 4,636억 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 음식 서비스가 이륜차 활용을 통한 생활주변 물류 서비스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모바일 거래액의 증가는 리버스 물류와 포장 폐기물의 증가를 수반하며, 환경부하를 증가시킬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고한 친환경 녹색물류활동에 대한 대항목별 수준 척도는 <표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현재 수준에서 평가 척도가 3.5 이상이면 활동에 대한 건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전 업종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항목은 거래적정화 항목이 유일하며, 다음으로 공동화를 들 수 있다, 이는 수익과 환경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제조업은 3.5 이상은 정보화, 표준화, 보관/하역/유통, 포장 재검토, 거래적정화 4항목이 해당한다, 포장이 물류의 출발이라는 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통업은 거래적정화 1항목, 물류업종은 정보화, 표준화, 녹색 수·배송, 보관/하역/유통, 공동화, 거래적정화, 정량화를 들 수 있다. 4점 이상인 항목은 제조업, 물류업의 정보화, 표준화 항목으로 나타났는 데, 정보는 신경망에 해당하는 업무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는 면에서, 표준화는 비용절감을 추진하는 면에서 당연한 결과로 여겨진다.

기업의 녹색물류활동은 <표 3>과 같이 수준별 특징을 나타낼 수 있으며, 독자들이 스스로 판단하여 대응방법과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사과정에서 물류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력난과 난배송지역 해소가 시급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인력난의 원인은 수익성, 사회성을 들 수 있다. 수익성 측면에서 차량을 구입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부담을 들 수 있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 차량의 리스를 검토해 볼 만하다. 차량을 구입하기 위해 돈을 차입하게 되면 발생하는 신용도 하락과 유동성 저하를 방지하고 젊은 층의 진입도 돕기 위한 방안의 일환이다.

이 경우 차량은 전기차로 제한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안전하고, 보람된 직장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 사회보험을 가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난배송 지역 해소는 그린모빌리티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난배송 지역의 경우, 집배송 구역은 넓지만 물동량 부족으로 수익성이 따라주지 않기 때문이다.

첫째, 난배송지역을 설정하여 지역별 공동집화를 수행하도록 업체를 선정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배송의 경우에는 고객서비스를 위하여 수행하지만 집화의 경우에는 수익성이 나지 않기 때문에 꺼리고 있다. 이는 고객이 ‘갑’ 이 아니라 ‘을’의 지위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갑, 을의 문제가 난배송 지역 주민의 안정된 생활추구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둘째, 그린모빌리티라는 면에서 확장된 국민의 행복권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보면
1) 제도적 개선과 소정의 교육과정을 거쳐 단순히 집화뿐만 아니라, 안전, 건강문제를 점검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지자체 또는 국가에서 비용을 보전해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2) 행복택시(지역에 따라 100원택시 등으로 불림)에 물류 서비스를 부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추진방법은 다음 기회에 소개하기로 한다. <이상 연재 끝>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