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정부의 모라토리엄 선언은 한러간 해상 컨테이너수송 선사와 러시아지역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고 있는 포워딩업체에 직격탄으로 날아왔다. 이들 업체들이 취급한 화물들이 대부분 수출화물이어서 운임회수(국내 수출업자에게 받기 때문에)에는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對러 수출위축에 따른 수송수요 감소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에 경영기반 자체가 흔들리게 될 판이다.
인천/부산/보스토치니/블라디보스토크간 정기선항로를 개설, 서비스중인 한러합작의 한소해운과 이 선사의 국내 대리점사인 동해해운에 따르면 20일 현재 선적계약돼 있던 화물중 30% 이상이 '선적 홀딩' 요구 때문에 배에 싣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은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전망.
한소해운과 동해해운의 관계자들은 "모라토리엄 선언의 직격탄을 받게 된 주요 수출화주인 家電3사와 종합상사의 움직임을 지켜봐야겠지만 선적 홀딩 요구가 쇄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항로운영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러 해상항로의 주요 화물은 가전제품 등을 포함한 전자제품과 식품류 및 자동차 완제품 부품(CKD). 전자제품의 경우 수출이 20~30%가량 줄어든 상태여서 지난 상반기중 화물취급실적이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체에 따르면 올들어 물동량이 줄면서 선박 스페이스가 상당량 남아돌고 있는 상황으로 척당 소석율(총 선적가능 스페이스중 실제 화물이 실린 비율)이 30%대 이하로 떨어진다면 투입 선박을 줄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화주들의 성화같은(?) 요구로 우리나라와 러시아 양국 당국간 합의된 複數항로화도 실현가능성이 없지 않겠느냐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외채지불중단이 현물상환으로 연결되고 러시아産 원자재의 가격이 떨어지면서 역수출(인바운드) 물량이 늘어나면 그만큼의 수송수요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해운기업들은 견딜만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러시아 자체의 수출물량이 없는데다 석유 등 러시아發 원자재의 경우 우리나라에서의 수입수요가 줄어버린 상태기 때문에 인바운드 물량이 늘어날 가능성은 없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