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참여하는 이용자 많을수록 해킹 거의 불가능해져

●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Block Chain)은 분산원장 또는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불리며, 암호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에서 출발했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 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비트코인이라는 전자화폐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
블록체인 기술은 인터넷상에서 서로 알지 못하는 다수의 상대방과 거래를 할 때 블록으로 연결된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사용자들의 개인 디지털장비에 분산·저장하여 공동으로 관리하는 탈중앙화된 개방형 정보공유 저장기술이다. 블록체인은 모든 구성원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및 가치를 검증·저장·실행함으로써 악의적인 세력에 의해 임의적인 조작이 어렵게 설계돼 있다. 제3의(Clearing House Trusted Third Party, TTP) 기관 없이 거래기록 또는 정보를 각자 보관하고 구성원들이 공동인증 할 때만 거래가 성립 되는 구조다. 다수의 거래기록 및 정보들을 담은 블록들을 연결한 블록 집합체로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해시값을 통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최초 블록(Genesis block)까지 이어지는 체인구조로 되어 있어 ‘블록체인’이라 부르는 것이다.
 
블록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데이터 패킷으로 거래내역 및 발생시간 등의 내용이 문자, 숫자 형태로 암호화돼 저장된다. 하나의 블록에는 지나온 10분간의 거래내역과 직전 블록의 해시(Hash, 고유 값), 난스(nonce, 임시 값)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블록들을 계속 연결하면 블록체인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새로운 거래 정보를 담은 블록은 10분마다 연결되며 블록 간 연결과정에서 유효성을 검증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내 정보의 위변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올바른 난스를 처음 찾아낸 노드(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하는 모든 개인 컴퓨터)가 블록을 네트워크에 전송하면 각 노드는 전송된 난스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거래가 정당한지를 확인한다. 확인되면 그 블록은 승인되고 타임스탬프가 찍혀서 직전 블록의 뒤에 접속된다. 만약 이 과정에서 임의의 정보조작이나 변경이 이뤄지면 그 블록은 검증작업에 의 해 고아블록으로 분류돼 소멸된다.

● 블록체인의 종류
블록체인은 사용자들의 자격을 제한하는 정도와 형태에 따라 퍼블릭(공개) 블록체인과 프라이빗(개인) 블록체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으로 구분된다.
공개 블록체인은 누구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 참여자가 알고리즘을 통해 거래내역을 검증하므로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 대다수의 가상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분야에서 활용 중인 모델이다.

개인 블록체인은 지정된 중앙기관에서 통제 권한을 보유하여 거래를 증명하고 사용자를 통제하는 형태다. 허가받은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고 중앙기관에서 일괄 통제가 가능하므로 효율성과 처리속도는 높으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컨소시엄 참여자들의 합의에 따라 거래 내역 검증이 가능하며 허가받은 사용자만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한 형태다. 공개 블록체인보다 처리속도는 높으나 투명성과 보안성은 낮다.

● 블록체인은 정말 안전한가?
블록체인은 분산형 원장이라 기록하고 있는 정보를 위변 조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어떻게 가능하고, 정말로 가능할까?

블록체인에서 생성한 데이터는 모든 노드에 저장된다. 노드에 저장한 데이터는 위변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대조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장한 데이터가 노드 사이에서 내용의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다수 노드가 기록 한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불일치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A노드와 B노드가 있는데 A와 B가 서로 다른 데이터라고 가정해 보자. 이때 두 노드는 다수 노드의 내용을 참조하는데, A노드가 기록한 데이터 내용이 다수 노드가 기록한 데이터에 일치 한다면, 다수결에 따라서 B노드의 데이터를 A노드 데이터로 바꿔 저장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노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불일치를 수정해나가는 게 블록체인 기술이다.

이 말은 해커가 블록체인 참여자의 데이터를 위변조하기 위해서는 모든 참여자 중 과반수의 기록을 동시에 해킹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커는 참여자들이 누구인지를 알아야 하고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기기를 해킹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블록체인 플랫폼에 참여하는 이용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해킹은 거의 불가능해진다.
만에 하나 해커가 해킹했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데이터를 위변조하는 것 역시 불가능에 가깝다. 과반수 기기를 동시에 해킹하고,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를 동시에 위변조하는 것은 초고속의 슈퍼컴퓨터가 아니면 안되는데 비트코인에 사용하고 있는 블록체인의 경우 동시에 데이터를 위변조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결국, 블록체인에 기록된 내용을 조작하려면 전 세계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슈퍼컴퓨터를 가지고 있거나, 블록체인 내의 사람 중 과반수이상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어 동시에 조작에 참여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전문가는 “전 세계 모든 노드를 슈퍼컴퓨터 500대로 동시 공격하지 않는 한, 천재 해커도 블록체인의 해킹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결론은 블록체인 플랫폼 유형과 사용자 수에 따라 다르지만, 블록체인을 해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