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쇼핑 등을 통한 농산물 구매 0.1%에 불과

농협은 자신들이 택배시장 진입해야 하는 명분으로, 농민 삶의 질 향상과 유통 직거래 활성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체국택배의 주말 배송 중단과 택배단가 인상 등이 농산물 직거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택배사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택배업계 관계자들은 전체 택배 물동량에서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5% 미만으로, 공익적인 측면이라고 보기 힘들다고 비난하고 있다.<도표 1>

대기업 택배업체들의 물동량에서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1%에 불과하다. 택배 물동량의 대다수가 C2C물동량인 한 중견택배사도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4%밖에 되지 않는다. 택배를 통해 발송되는 농산물의 비중이 그만큼 적다는 것이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2011년 일반가구 2,094명과 외식업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식품산업 분야별 원료소비 실태’ 결과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가구들의 주요 농산물 구매 장소는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쇼핑몰 및 TV홈쇼핑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는 0.1%에 불과했다. 다른 산업군에 비해 택배발송 비중이 그만큼 적다는 것으로, 이는 전체 택배 물동량 중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 되지 않는다는 택배업계의 얘기를 뒷받침해주고 있다.<도표 2>

특히 구매 장소를 주로 이용하는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다른 품목을 함께 구매할 수 있고, 거리가 가까워서라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2.5%만이 배달을 해줘서(택배로 받을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도표 3>

이는 농산물 구매 특성이 택배를 통한 직거래 보단 대형할인점 등을 찾아 신선도를 살펴보고 자신들에게 필요한 양만큼 구매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으로, 농산물의 택배 이용 증가율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물뿐 아니라 축산물과 수산물도 마찬가지다. 인터넷쇼핑몰과 TV홈쇼핑을 통해 축산물과 수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각각 0.2%, 0.5%인 것으로 나타났다.

15년 째 제자리걸음 중인 직거래 활성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직거래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종합대책’의 하나로 추진 중인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지난 10월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법’ 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는 농협이 내세우고 있는 택배사업 참여 명분과도 크게 연관된다. 농협은 우체국택배 등의 주 5일제 시행과 단가인상이 직거래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택배전문가들은 농협의 이러한 명분은 투정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미 15년 전부터 직거래 활성화를 강조 해왔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비슷한 얘기를 하고 있는 원인이나 먼저 찾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체국택배의 주 5일제로 인해 농산물 택배의 이용이 중단된 사례도 없으며, 이러한 불편은 민간 택배업체가 최소화시키고 있는 상태인데 이를 명분삼아 시장 진입을 꾀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과거 직거래활성화에 투자해 낭비한 혈세부터 챙겨봐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인 것이다.

15년 전인 1999년 당시 농림부는 직거래사업을 유형별로 내실화하고 직거래 참여주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현재 정부가 내놓은 정책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현재의 인터넷쇼핑몰과 같은 무점포방식의 직거래 장터를 개설하고 지원하는데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또한 직거래 활성화 유도를 위해 직거래 참여주체에 대한 자금지원도 대대적으로 진행됐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 중인 농산물 직거래 사업장의 설치·개설 및 운영 지원, 농산물 직거래사업자의 육성을 위한 교육 지원, 우수 농산물 직거래사업장 인증제 등과 유사한 정책이다. 당시 농림부는 이러한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 약 450억 원을 사용했다.

택배업계 전문가는 “우체국택배의 토요일 휴무 등의 말도 안되는 얘기로 포장해 수익사업을 만들려고 하지 말고 지금껏 허투루 사용된 국민 혈세를 어떻게 하면 낭비하지 않을까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