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용익 군산상공회의소 사무국장

 

“거시적 차원의 물류단지 조성해야”

 

▲ 장용익 군산상공회의소 사무국장
“물류허브가 되려면 물류활동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시설이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군산항 배후나 군산시 인근에 이런 시설이 없다. 군산의 기업들은 물류시설에 목말라 있다”
“물류단지를 조성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군산지역 산업단지나 새로 조성되는 새만금 개발지역의 물동량만을 염두에 둔 물류단지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근 물동량뿐 아니라 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등지의 물량까지를 타깃으로 한 거시적 차원의 물류단지가 조성되어야 한다”

시급한 과제는 물류활동 공간 확보

군산상공회의소 장용익 사무국장은 “현재 군산지역 물류에 있어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것이 물류단지 확보”라면서 “전국적으로 항만시설 공급 과잉이라는 지적이 있으나 군산의 경우 항만하역 공급 과잉이 문제가 아니라 화물을 보관, 분류하고 운송 작업할 물류활동 공간과 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물동량은 늘고 있는데 물류시설은 포화상태라는 얘기다.
장용익 사무국장에 따르면 군산의 경우 항구도시임에도 불구, 부두를 운영하면서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는 하역사들 조차 배후 공간이 없어 곤란을 겪는다고 한다. 그는 “GM자동차도 항만 내에 화물을 쌓아놓고 있고, 엑스포단지를 임대해 쓰고 있으나 이마저 부지부족으로 경쟁이 치열하다”는 예를 들면서 군산지역 기업들이 물류시설에 목말라 하고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군산항 인근에 물류시설이 없어 외지의 물류시설로 움직이는 물량이 많다. 이에는 기업의 물류비용, 나아가 국가 물류비용측면에서도 손실일 뿐 아니라 군산의 몫이 될 수 있는 부가가치의 역외 유출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물류단지 물량 타깃, 범위 넓혀야

물론 군산시나 군산지방해양항만청 등에서도 물류단지의 필요성을 알고 있다. 그림도 그리고 있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그림을 그리려면 장기적이고 거시적 차원에서 그림을 그려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그는 “인근 산업단지나 새만금 개발사업을 고려할 때 앞으로 물류시설, 물류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면서 “이들 늘어나는 물동량을 위한 물류단지를 조성하되 군산의 산업단지나 새만금으로부터 발생할 수요만이 아니라 수도권이나 호남권, 중부권의 물량이 이곳으로 움직일 것을 염두에 둔 청사진이 그려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군산 = 환황해시대 물류허브’라는 기대등식을 배경에 깐 주문이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산업단지 입주기업이 늘고 있고 물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군산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로 ‘물류시설 부족에 따라 물류이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과 함께 ‘전문인력 부족 현상’을 꼽는다.
그에 따르면 군산지역 산단에 입주 예정하고 있는 기업은 많으나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투자해서 생산시설을 갖추어도 기술인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란다.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등 상당수의 기술인력을 필요로 하는 굵직한 기업이 들어섰지만 인력이 없다. 이들 기업의 시설은 인천, 울산 등지에서 옮겨온 시설로, 그 지역에 있던 협력업체들도 함께 왔다. 그러나 기존 지역의 기술인력이 따라오려 하지 않는다. 교육, 의료, 거주 문제 등이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다 지역의 젊은 인력들이 힘든 일을 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외국인 노동자를 생각해 보았으나 법적인 문제가 있다”면서 “지역의 젊은 층이 일 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한다.

새만금, 지역·정치 뛰어넘는 국가적 사업

환황해시대를 맞아 군산은 물론 인천, 평택 등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군산의 경우 예산과 시설이 약하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전라북도의 도세(道勢)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을 아쉬워한다. 새만금 개발사업만해도 둑만 막아놓으면 모양새가 나올 줄 알았으나 드라이브가 걸리지 않는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이를 ‘지역과 정치적 문제’로 보고 있다. 사업의 배경에 정치가 깔려 있으면 예측 불가능이라는 벽이 생긴다.
장용익 사무국장은 “국가적 사업인 만큼 지역과 정치를 뛰어넘는 차원에서 일이 진행되기를 바란다”면서 특히 군산시가 새만금개발지역과 엮여 있는 군산, 김제, 부안의 지역통합 문제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주문하고 있다.
<김성우 기자, soungwoo@klnews.co.kr>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